결막염 증상, 원인, 치료법 총정리

눈 건강을 위협하는 결막염,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결막염은 누구나 한 번쯤 겪어봤을 정도로 흔한 안과 질환입니다. 눈이 붓거나 빨개지는 증상으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주며,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전염성이 강해 주변 사람에게도 옮길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결막염의 주요 증상과 원인, 올바른 치료법과 예방법까지 상세하게 안내드립니다.


결막염 증상, 이렇게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설명
눈 충혈눈 흰자 부분이 붉게 변함
눈물 과다눈물이 자주 흐르거나 눈물이 고임
이물감눈에 모래가 들어간 듯한 불쾌감
가려움심한 가려움 또는 간지러움
눈곱끈적한 눈곱 또는 누런 눈곱 증가
통증경미한 통증이나 불편함
시력 흐림심한 경우 시야가 흐려질 수 있음

결막염은 급성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고, 증상은 양쪽 눈에 동시에 나타나거나 한쪽 눈에서 시작해 반대쪽으로 번질 수 있습니다.

결막염 원인,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1. 바이러스성 결막염

  • 원인: 아데노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 특징: 전염성이 매우 높고, 눈물 증가, 가벼운 발열 동반 가능

  • 전파경로: 손 접촉, 수건 공유 등

2. 세균성 결막염

  • 원인: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 세균 감염

  • 특징: 누런 눈곱, 심한 충혈, 눈꺼풀 부종

  • 전파경로: 손·눈 접촉, 오염된 물건

3. 알레르기성 결막염

  • 원인: 꽃가루, 먼지, 동물 털, 미세먼지 등

  • 특징: 심한 가려움, 맑은 눈물, 계절성 경향

4. 자극성 결막염

  • 원인: 화학물질, 연기, 먼지 자극

  • 특징: 이물감, 눈 시림, 통증 동반


결막염 치료법

1. 바이러스성 결막염

  • 기본 치료: 자연 치유 (1~2주)

  • 대증 치료: 인공눈물, 냉찜질, 소염제 사용

  • 주의사항: 전염성이 높아 격리 권장

2. 세균성 결막염

  • 주요 치료: 항생제 안약, 안연고 사용

  • 치료 기간: 대개 5~7일 이내 개선

3. 알레르기성 결막염

  • 치료법: 항히스타민제 안약, 인공눈물, 항알레르기 약물

  • 예방: 알레르기 유발 물질 피하기

4. 자극성 결막염

  • 치료법: 자극 원인 제거, 생리식염수 세척, 인공눈물 사용


결막염 예방 및 관리법

  • 외출 후 손 씻기 철저

  • 눈 비비는 습관 금지

  • 개인 위생 철저 (수건·베개 개인 사용)

  • 의심 증상 시 조기 안과 진료

  • 인공눈물로 눈 건강 유지

  • 콘택트렌즈 착용 주의, 렌즈 세척 철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결막염이 얼마나 오래 가나요?

A. 바이러스성은 12주, 세균성은 항생제 사용 시 57일, 알레르기성은 원인 제거 시 빠르게 호전됩니다.

Q2. 결막염이 자연치유가 되나요?

A.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자연 치유 가능하지만, 세균성은 항생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Q3. 결막염이 옮을 수 있나요?

A. 바이러스성과 세균성은 전염성이 높습니다. 가족과 수건 공유 등 피해야 합니다.

Q4. 결막염 중에 렌즈 착용 가능한가요?

A. 증상 완화 전까지 렌즈 착용 금지, 안경 사용 권장

Q5. 인공눈물은 어떤 제품이 좋나요?

A. 방부제 없는 인공눈물이 좋으며 하루 4~6회 정도 사용 권장됩니다.


마무리: 빠른 진단과 위생 관리로 결막염 예방하세요

결막염은 가볍게 보이지만 전염성과 재발 가능성이 높은 질환입니다. 증상이 나타나면 빠르게 진단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 눈 건강에 관심을 가지고 깨끗한 손과 눈 위생을 지키는 습관이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다음 이전